김영진 (194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진은 1947년 11월 17일에 태어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도암초등학교, 도암중학교, 강진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농협에서 근무하다가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제16대 총선까지 4선을 기록하고 참여정부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냈다. 18대 총선에서 광주광역시 서구 을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기여했다. 한편,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 반대 시위 중 스위스 경찰에 연행된 사건과, 일본 교과서 왜곡 항의 시위에서 '반성즙'이라는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여 일본에서 화제가 된 사건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암초등학교 (전남) 동문 - 윤재명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재명은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7대, 8대 국회의원을, 무소속으로 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3선 의원을 지냈고, 김대중 의원 자택 폭발물 사건 국회 조사 특별위원장, 김포·강화 사건 진상 조사 특별위원장, 국회 헌법 개정 특별위원회 기본권 위원장 등을 맡아 활동했다. - 전남생명과학고등학교 동문 - 박광일
박광일은 연세대학교 축구부를 거쳐 마쓰모토 야마가 FC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해 FC 푸네 시티, 미토 홀리호크, 에히메 FC 등을 거쳐 경남 FC를 통해 K리그에 데뷔, 진주시민축구단 임대 후 김포 FC로 이적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과거 스카이에듀 사회탐구 강사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김영진 (194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김영진 |
한자 표기 | 金泳鎭 |
로마자 표기 | Gim Yeongjin |
출생일 | 1947년 12월 2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강진군 |
사망일 | 알려진 정보 없음 |
사망지 | 알려진 정보 없음 |
본관 | 도강 |
종교 | 개신교(장로교) |
배우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자녀 | 알려진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김영진 |
정치 경력 | |
정당 | 평화민주당 (과거) 민주당 (과거) 새정치국민회의 (과거) 새천년민주당 (과거) 민주당 (과거) 민주통합당 (과거) 무소속 (현재) |
국회의원 | 전라남도 강진군·완도군 선거구 (과거) 전국구 (과거) 광주광역시서구 을 (과거) |
당선 횟수 | 5회 |
임기 | 1988년 5월 30일 - 2003년 |
임기2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소속 위원회 | 알려진 정보 없음 |
의원회관 | 알려진 정보 없음 |
농림부 장관 | 임기: 2003년 2월 27일 - 2003년 7월 8일 |
2. 생애
도암초등학교, 도암중학교, 강진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의 농협에서 근무하다가 13대 총선을 앞두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해 정계에 입문했고,[11] 이후 16대 총선까지 내리 4선을 기록한 뒤 참여정부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냈다.[11] 18대 총선에서 광주광역시 서구을에서 당선되어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11] 과학벨트 호남권유치위원장과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위원장을 맡아 일부 연구단과 예산 확보에 일정 정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1] 최근 일부 보수단체의 등재 반대 움직임에 정면으로 맞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을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 성사 시켰다.[11]
1947년 11월 17일(음력) 출생.
;학력
- 1982년: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 1990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졸업
- 1998년: 우크라이나 국립 농업 대학교, 명예 농학 박사
- 1999년: 미국 루이지애나 밥티스트 대학교, 명예 정치학 박사
- 2002년: 조선대학교, 명예 경제학 박사 (겸임 교수)
;활동 경력
- 1970 - 1980년: 농협 근무
- 1971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강진국 사무국장
- 1978년: 기독교청년전남연합 회장 (유신 철폐, 광주 YWCA 사건으로 투옥)
- 1980-1988년: 신협운동 전개 (광주 5.18 2주기 추모 예배 사건으로 투옥)
- 1985년: 광주 5.18 복직·복권 추진위원회 사무국장
- 1987년:
- * 평화민주당 발기인, KNCC 광주인권위원회 총무
- * 민주쟁취국민본부 전남본부 상임 공동 의장
-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평화민주당 → 민주당, 강진·완도 선거구)
- * 광주 5.18 청문회 현증 소위원회 위원장
-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민주당 → 신정치국민회의, 강진·완도 선거구)
- * 해외참전전우회 부회장
-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신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강진·완도 선거구)
- * 국회, 한·우크라이나 의원 친선협회 회장
- 1998년:
- * 국회 조찬기도회 회장
- * 국가경영전략위원회 위원장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 *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장
- 2003년:
- * 제52대 농림부 장관
- * 새만금 친환경 범국민 추진위원회 상임대표, 민족농어업연구소 이사장
- * 세계 기독 의원 연맹 (WCPA) 초대 회장
- 2004년: 4월 총선에서 낙선
- 2007년:
- * 한·아프리카 친선협회 회장 (현재)
- * 국제사랑재단 창립 대표 회장 (현재)
- * 한일기독의원연맹 대표 회장 (현재)
- * (사) 대한민국 국가조찬기도회 회장 (현재)
- * 세계한인교류협력기구(W-KICA) 창설자 상임대표 (현재)
-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민주당 → 민주통합당, 광주광역시 서구 을)
- *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
- *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교육의원연맹 초대 부의장
- * 민주당 당무위원
- * 국회 「농어업 재생 위원회」 공동 대표
2. 1. 초기 생애 및 정치 입문
김영진은 1947년 11월 17일(음력)에 태어났다. 도암초등학교, 도암중학교, 강진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의 농협에서 근무하다가 13대 총선을 앞두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해 정계에 입문했다.[11] 이우정, 박영숙, 임채정 등 재야인사들과 함께 입당하였다.[11]이후 16대 총선까지 내리 4선을 기록한 뒤 참여정부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냈다.[11] 18대 총선에서 광주광역시 서구을에서 당선되어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11]
1970년부터 1980년까지 농협에서 근무하였으며, 1971년에는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강진국 사무국장을 역임하였다. 1978년 기독교청년전남연합 회장을 역임하던 중 유신 철폐, 광주 YWCA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신협운동을 전개하였는데, 광주 5.18 2주기 추모 예배 사건으로 투옥되기도 하였다. 1985년에는 광주 5.18 복직·복권 추진위원회 사무국장을 맡았다.
1987년 평화민주당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KNCC 광주인권위원회 총무를 역임했다. 같은 해 민주쟁취국민본부 전남본부 상임 공동 의장을 지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평화민주당 → 민주당, 강진·완도 선거구)에 당선되었으며, 광주 5.18 청문회 현증 소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민주당 → 신정치국민회의, 강진·완도 선거구)에 당선되었고, 해외참전전우회 부회장을 지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신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강진·완도 선거구)에 당선되었으며, 국회 한·우크라이나 의원 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8년에는 국회 조찬기도회 회장과 국가경영전략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전국구)에 당선되어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학력
- 1982년: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 1990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졸업
- 1998년: 우크라이나 국립 농업 대학교, 명예 농학 박사
- 1999년: 미국 루이지애나 밥티스트 대학교, 명예 정치학 박사
- 2002년: 조선대학교, 명예 경제학 박사 (겸임 교수)
2. 2. 국회의원 활동 (13대 ~ 16대)
김영진은 도암초등학교, 도암중학교, 강진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의 농협에서 근무하다가 13대 총선을 앞두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해 정계에 입문했다.[11] 16대 총선까지 내리 4선을 기록한 뒤 참여정부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냈다.[11]1970년부터 1980년까지 농협에서 근무했다. 1971년에는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강진국 사무국장을 맡았고, 1978년에는 기독교청년전남연합 회장을 역임하던 중 유신 철폐, 광주 YWCA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1980년부터 1988년까지는 신협운동을 전개했으며, 광주 5.18 2주기 추모 예배 사건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1985년 광주 5.18 복직·복권 추진위원회 사무국장을 맡았고, 1987년 평화민주당 발기인, KNCC 광주인권위원회 총무 및 민주쟁취국민본부 전남본부 상임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
1988년 평화민주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강진·완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후 신정치국민회의로 당적을 변경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이후 새천년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1996년 국회, 한·우크라이나 의원 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8년에는 국회 조찬기도회 회장과 국가경영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장을 역임했다.
장로교 신자로서 국회 내에서 조찬 기도회를 시작하는 등 기독교 의원으로서의 활약이 눈에 띈다.[11] 한일 기독교 의원 연맹의 제창자이자 한국 측 설립자이며, 현재도 한국 측 대표로서 고이즈미 총리(당시)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항의 등 활동을 하고 있다.[11]
2. 3. 참여정부 시절
2003년 2월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김영진은 농림부 장관에 임명되었다.[4] 당시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대규모 공공사업으로 시작된 새만금간척 사업에 대해 환경 파괴 우려와 지역 이익 편중 비판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지역구 국회의원이자 주관 부처 장관이었던 김영진은 사업 지속 방침을 반복적으로 표명했다.[4] 그러나, 한명숙 환경부 장관, 최낙정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반대파의 항의 행동을 격려하는 등, 각료 간 불통일이 현저해졌다.[4]같은 해 7월, 서울의 행정법원에서 새만금 간척 사업의 잠정 중지 가처분 결정이 내려지자, 김영진은 이미 막대한 국비를 투입한 사업이 중단되는 것에 불복하여 노무현 대통령에게 농림부 장관직 사표를 제출했고[5], 최종적으로 수리되었다.
이 경위로 김영진은 환경 보호 단체 등의 새만금 간척 사업 반대파로부터 낙선 운동 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비판을 받았고,[6] 그 영향으로 2004년 총선에서 낙선했다.
김영진 사직의 원인이 된 새만금 간척 사업 중지 가처분 결정은 이후 고등법원, 대법원 모두 기각되어, 해당 사업은 지속되어 2006년에 새만금을 외해와 차단하는 방조제 공사가 완성되었고, 이후에는 제내의 육지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 4. 국회의원 활동 (18대)
김영진은 도암초등학교, 도암중학교, 강진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의 농협에서 근무하다가 13대 총선을 앞두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해 정계에 입문했다.[11] 16대 총선까지 내리 4선을 기록한 뒤 참여정부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냈다. 18대 총선에서 광주광역시 서구을에서 당선되어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과학벨트 호남권유치위원장과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위원장을 맡아 일부 연구단과 예산 확보에 일정 정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1]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을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시키는데에도 공헌했다.[11]장로교 신자로서 국회 내에서 조찬 기도회를 시작하는 등 기독교 의원으로서의 활약이 눈에 띈다.[11] 한일 기독교 의원 연맹의 제창자이자 한국 측 설립자이며, 현재도 한국 측 대표로서 고이즈미 총리(당시)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항의 등 활동을 하고 있다.[11]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민주당 → 민주통합당, 광주광역시 서구 을)되어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교육의원연맹 초대 부의장, 민주당 당무위원, 국회 「농어업 재생 위원회」 공동 대표 등을 역임했다.
3. 정치 활동 및 신념
그는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미국산 농산물이 대한민국에 전면 유입될 위기에 처하자 협상이 매듭지어지고 있던 스위스 제네바로 날아가 유럽 공동체 공관 앞에서 대한민국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삭발을 하고 문민정부의 성급한 협상을 성토하며 단식 농성을 펼쳤는데, 삭발한 그의 모습이 극우주의자들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스위스 경찰에 연행되는 굴욕을 겪었다.
일본의 인터넷 속어인 "'''반성즙'''"(한세이시루/反省汁, はんせいしる일본어)는 그에게서 유래했다. 이는 그가 2001년 4월 일본 후소샤판 역사교과서 왜곡에 항의하기 위해 일본 국회의사당 앞에서 벌인 1인 시위에서 사용한 피켓에 쓰여 있던 잘못된 문구에서 유래된 유행어로서 주로 2채널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동안 화제가 되었다. 그가 든 항의 피켓에는 "'''일본은 반성하라!'''" ("日本は反省しろ!")라는 의미의 문구가 새겨져 있었는데, "~하라"를 의미하는 단어인 しろ(시로)가 이와 비슷한 글자인 しる(시루)로 잘못 표기되는 바람에 "日本は反省しる!"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고 말았다. しる(시루)는 즙이나 국물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이기 때문에 이 문장은 "'''일본은 반성즙!'''" 또는 "'''일본은 반성국물!'''"이라는 이상한 일본어 문장이 되고 말았다. 이 광경이 일본 텔레비전에 전해지면서 심각하고 진지한 항의에 어울리지 않는 문구가 일본에서 반향을 불러 일으켰고 이후 인터넷을 중심으로 널리 유행어가 되었다. 이 때문에 그는 일본에서 "반성즙 아저씨" 또는 "반성국물 아저씨"(한세이시루오지산/反省汁おじさん일본어)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웹사이트 2채널에서는 상대에게 사죄를 요구하거나 명령형을 뜻하는 しろ가 しる로 쓰는 것이 문법처럼 굳어지게 되었다.
중화민국 103주년 개국기념회에 참여하여 중화민국과 대한민국의 긴밀한 인연을 강조하였다.
3. 1. 농민 운동
그는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미국산 농산물이 대한민국에 전면 유입될 위기에 처하자 협상이 매듭지어지고 있던 스위스 제네바로 날아가 유럽 공동체 공관 앞에서 대한민국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삭발을 하고 문민정부의 성급한 협상을 성토하며 단식 농성을 펼쳤는데, 삭발한 그의 모습이 극우주의자들과 비슷하는 이유로 스위스 경찰에 연행되는 굴욕을 겪었다.일본의 인터넷 속어인 "'''반성즙'''"(한세이시루/反省汁, はんせいしる일본어)는 그에게서 유래했다. 그가 일본 후소샤판 역사교과서 왜곡에 항의하기 위해 일본 국회의사당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였는데, 이때 사용한 피켓에 쓰여 있던 잘못된 문구에서 유래된 유행어로서 주로 2채널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동안 화제가 되었다. 그가 든 항의 피켓에는 "'''일본은 반성하라!'''" ("日本は反省しろ!")라는 의미의 문구가 새겨져 있었는데, "~하라"를 의미하는 단어인 しろ(시로)가 이와 비슷한 글자인 しる(시루)로 잘못 표기되는 바람에 "日本は反省しる!"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고 말았다. しる(시루)는 즙이나 국물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이기 때문에 이 문장은 "'''일본은 반성즙!'''" 또는 "'''일본은 반성국물!'''"이라는 이상한 일본어 문장이 되고 말았다. 이 때문에 그는 일본에서 "반성즙 아저씨" 또는 "반성국물 아저씨"(한세이시루오지산/反省汁おじさん일본어)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중화민국 103주년 개국기념회에 참여하여 중화민국과 대한민국의 긴밀한 인연을 강조하였다.
3. 2. 한일 관계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미국산 농산물이 대한민국에 전면 유입될 위기에 처하자 스위스 제네바로 날아가 유럽 공동체 공관 앞에서 대한민국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삭발을 하고 문민정부의 성급한 협상을 성토하며 단식 농성을 펼쳤는데, 삭발한 그의 모습이 극우주의자들과 비슷하는 이유로 스위스 경찰에 연행되는 굴욕을 겪었다.2001년 4월 일본 후소샤판 역사교과서 왜곡에 항의하기 위해 일본 국회의사당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였다. 이때 사용한 피켓에 쓰여 있던 "'''일본은 반성하라!'''" ("日本は反省しろ!")라는 문구에서 '~하라'를 의미하는 しろ(시로)가 しる(시루)로 잘못 표기되어, "'''일본은 반성즙!'''" 또는 "'''일본은 반성국물!'''"이라는 문구가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일본에서 "반성즙 아저씨"(한세이시루오지산/反省汁おじさん일본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고, 일본의 인터넷 속어인 "'''반성즙'''"(한세이시루/反省汁, はんせいしる일본어)이 그에게서 유래했다.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편집하고 후소샤가 발행한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것에 대해, 한국과 중국에서 항의 여론이 고조되자, 김영진은 4월 10일, 한일 기독교 의원 연맹의 한국 측 멤버 3명을 동반하여 방일했다. 일본 정부·일본 국회의 요인과 회담하여 항의하고 항의문을 전달했으나, 별다른 반응이 없자, 4월 11일에 국회의사당 정문 앞, 4월 12일 이후에는 의원회관 앞에서 단식 투쟁을 실시, 4월 16일 의사의 권고로 중단할 때까지 연좌 농성을 계속했다. 일본 기독교 협의회, 재일 한국·조선인 기독교 단체 및 시민 단체 등이 그의 행동에 찬동하여, 많은 신자들이 연좌 농성에 동행했다. 단식 투쟁 종료 후, 4월 17일에 귀국했다.
중화민국 103주년 개국기념회에 참여하여 중화민국과 대한민국의 긴밀한 인연을 강조하였다.
3. 3. 5.18 민주화운동
그는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미국산 농산물이 대한민국에 전면 유입될 위기에 처하자 협상이 매조지되고 있던 스위스 제네바로 날아가 유럽 공동체 공관 앞에서 대한민국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삭발을 하고 문민정부의 성급한 협상을 성토하며 단식 농성을 펼쳤는데, 삭발한 그의 모습이 극우주의자들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스위스 경찰에 연행되는 굴욕을 겪었다.일본의 인터넷 속어인 "'''반성즙'''"(한세이시루/反省汁, はんせいしる일본어)는 그에게서 유래했다. 2001년 4월 일본 후소샤판 역사교과서 왜곡에 항의하기 위해 일본 국회의사당 앞에서 1인 시위를 하면서 "'''일본은 반성하라!'''" ("日本は反省しろ!")라는 의미의 문구를 피켓에 새겼는데, "~하라"를 의미하는 단어인 しろ(시로)가 이와 비슷한 글자인 しる(시루)로 잘못 표기되어 "日本は反省しる!"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었다. しる(시루)는 즙이나 국물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이기 때문에 "'''일본은 반성즙!'''" 또는 "'''일본은 반성국물!'''"이라는 이상한 일본어 문장이 되었다. 이 광경이 일본 텔레비전에 전해지면서 심각하고 진지한 항의에 어울리지 않는 문구가 일본에서 반향을 불러 일으켰고 이후 인터넷을 중심으로 널리 유행어가 되었다. 이 때문에 그는 일본에서 "반성즙 아저씨" 또는 "반성국물 아저씨"(한세이시루오지산/反省汁おじさん일본어)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중화민국 103주년 개국기념회에 참여하여 중화민국과 대한민국의 긴밀한 인연을 강조하였다.
3. 4. 종교 활동
김영진은 장로교 신자로서 국회 내 조찬 기도회를 시작하는 등 기독교 의원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한일 기독교 의원 연맹의 제창자이자 한국 측 설립자이며, 현재도 한국 측 대표로서 고이즈미 총리(당시)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항의 활동 등을 하고 있다.4. 논란 및 사건 사고
4. 1. 우루과이 라운드 반대 시위 중 스위스 경찰 연행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미국산 농산물이 대한민국에 전면 유입될 위기에 처하자, 김영진은 협상이 진행 중이던 스위스 제네바로 건너가 유럽 공동체 공관 앞에서 대한민국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삭발을 하고 문민정부의 성급한 협상을 비판하며 단식 농성을 벌였다. 당시 우루과이 라운드에 대한 국내 여론은 미국 등 여러 외국에서 값싼 농산물이 대량으로 유입될 경우 국내 산업이 쇠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고조되어 농산물 수입 자유화 반대 여론이 높아진 상황이었다.김영진은 이러한 여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의원들과 함께 전원이 머리를 삭발하고 스위스 제네바로 가서 유럽 공동체 재외공관 정문 앞에서 연좌 농성을 하며 단식 투쟁을 실시했다. 그러나 사전에 스위스 정부나 제네바 공안 당국에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무 질문을 받았고, 불온한 언동과 삭발한 머리 모양 때문에 테러 혐의자로 오인받아 제네바 경찰에 체포되었다. 조사 과정에서 국회의원 신분임이 밝혀져 보석으로 석방되었다.
4. 2. '반성즙' 사건
1997년 4월 11일, 김영진은 국회 의사당 정문 앞에서 단독으로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이 장면은 다음 날인 4월 12일 동아일보의 [http://japan.donga.com/srv/service.php3?biid=2001041212148 일본어판 뉴스 사이트]에 게재되었다. 사진 속 김영진은 오른손에 "'''일본은 반성하る!'''"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었다.피켓 제작자는 "ろ"와 "る"를 구별하지 못했고, 김영진 또한 오타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수정할 시간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단식 자체가 급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일본어 원어민의 도움을 받을 기회가 없었고, 보도한 신문사 역시 이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했다. 이러한 악조건으로 인해 김영진의 항의는 일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웃음거리가 되었다.
이 사진은 익명 게시판 2ch(2채널)을 중심으로 화제가 되었고, "~'''시루'''"(혹은 "~'''즙'''")는 2ch(2채널) 용어로 한일 관계 소재는 물론, 관계없는 문맥에서도 사용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김영진은 2ch(2채널) 등에서 "반성즙 아저씨", "즙 아저씨"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외국어 화자의 실수는 흔히 넘어가지만, 주목받는 상황에서의 엉뚱한 실수는 큰 웃음거리가 되어 널리 유포되는 경향이 있다. 김영진의 경우, 한국의 주요 국회의원이 항의를 위해 방일하여 단식하는 상황에서 "~'''시루'''"를 사용한 것이 결정타였다. 이후 "~'''시루'''"는 인터넷 상의 일본어 화자 사이에 확산되어, 현재는 이 사건을 모르는 세대에게까지 사용되고 있다.
5. 학력
6. 역대 선거 결과
김영진은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전남 강진군·완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16번으로 당선되어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광주 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광주 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88년 | 총선 | 평화민주당 | 35,065표 (40.46%) | 1위 | 당선 | 초선 |
1992년 | 총선 | 민주당1991 | 33,685표 (45.70%) | 1위 | 당선 | 재선 |
1996년 |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 33,765표 (51.48%) | 1위 | 당선 | 3선 |
2000년 | 총선 | 새천년민주당 | 6,780,359표 (35.9%) | 비례대표 16번 | 당선 | 4선 |
2004년 | 총선 | 새천년민주당 | 24,729표 (35.61%) | 2위 | 낙선 | 낙선 |
2008년 | 총선 | 통합민주당2008 | 34,891표 (72.52%) | 1위 | 당선 | 5선 |
참조
[1]
문서
この生年月日は陰暦である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3]
웹사이트
靖国神社参拝への抗議と日本の軍事化を憂慮する共同声明
https://web.archive.[...]
日本キリスト教協議会
2023-08-15
[4]
뉴스
政府はなく利益集団だけがある
http://japanese.chos[...]
朝鮮日報
2003-05-20
[5]
뉴스
扶安郡が廃棄場誘致撤回を警告
http://japanese.chos[...]
朝鮮日報
2003-07-16
[6]
뉴스
環境破壊!生命破壊!政治家は退場!
http://www.enviroasi[...]
2004-02-06
[7]
웹사이트
5.18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 주역, 김영진 민주당 의원
https://www.asiatoda[...]
2011-06-16
[8]
뉴스
조영택ㆍ김영진ㆍ김재균ㆍ최인기 탈락(趙泳澤・金泳鎮・金載均・崔仁基脱落)
http://www.yonhapnew[...]
2012-03-05
[9]
뉴스
`공천 탈락' 김영진 불출마 선언(‘公薦脱落’金泳鎮不出馬宣言)
http://www.yonhapnew[...]
2012-03-19
[10]
뉴스
悪縁と友情
http://japan.donga.c[...]
2001-04-12
[11]
뉴스
'과학벨트.5.18 기록유산' 맹활약 김영진 의원
https://news.naver.c[...]
2011-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